학생기자단과 함께 하는 교실 속 NIE, ‘역사 진로직업 체험’, ⑫-2 애민(愛民), 조선 의사들의 의학 윤리
학생기자단과 함께 하는 교실 속 NIE, ‘역사 진로직업 체험’, ⑫-2 애민(愛民), 조선 의사들의 의학 윤리
  • 권성하 기자
  • 승인 2018.08.25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⑫-2 애민(愛民), 조선 의사들의 의학 윤리

교육사랑신문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18년도 지역신문발전기금 지역신문활용교육의 일환으로 ‘교육사랑신문 학생기자단과 함께 하는 교실 속 NIE, 역사 진로직업 체험’을 총 12회에 걸쳐 게재합니다. 역사 속 인물들의 직업과 생애를 통해 오늘을 사는 학생·청소년들의 꿈과 끼를 키우고, 진로와 직업의 세계를 풍부하게 생각하는 기회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열두 번째 주제는 '의료인(醫療人)'입니다. 의료인은 인간의 질병을 예방하고, 상처를 치료하고, 간호하는 전문인력입니다. 우리 역사 속에는 어떤 의료기관과 의료인이 있었는지 학생기자들과 함께 살펴봤습니다.<편집자 주>

기원전 5세기에 작성된 히포크라테스 선서는 의학 윤리를 담은 대표적인 문서다. 그로부터 7000년 뒤인 1948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세계 의학협회 총회에서 히포크라테스 선서를 오늘날 상황에 맞게 수정한 ‘제네바 선언’이 발표된다.

두 선언의 핵심 윤리는 '인간의 생명을 최대한 존중하겠다'는 것이다.

허준의 ‘동의보감’과 허임의 ‘침구경험방’, 이헌길의 ‘마진기방’, 사주당 이씨의 ‘태교신기’ 등 조선의 의학서는 모두 질병으로부터 백성을 구하고자 하는 애민정신과 인간의 생명을 존중하는 의학 윤리를 담고 있다.
허준의 ‘동의보감’과 허임의 ‘침구경험방’, 이헌길의 ‘마진기방’, 사주당 이씨의 ‘태교신기’ 등 조선의 의학서는 모두 질병으로부터 백성을 구하고자 하는 애민정신과 인간의 생명을 존중하는 의학 윤리를 담고 있다.

400년 전 한국의 의사들도 그랬다. 조선의 편작으로 불린 허준, 조선 최초의 해부의 전유형, 침술로 '신의 손'의 경지에 오른 허임, 양반이나 부자들보다 천민의 목숨을 구하는 것을 더 소중하게 생각한 민중의사 조광일 등이 보여준 의학 윤리는 한결같이 '애민(愛民)'이었다.

조선의 명의들은 병을 다스리고, 백성을 구하는 것(治病濟衆)을 최고의 가치로 여겼다. 임금의 주치의인 '어의(御醫)'가 되기도 했고, 평생을 백성들을 위해 봉사하는 삶을 살기도 했다.

대표적인 어의가 허준(1539~1615)과 허임(1570~1647)이다. 둘은 동시대를 살았다. 허준은 내과 의사로서 진맥을 하고, 약을 짓는 일에 능했다. 그가 쓴 '동의보감'은 세계 최초로 예방의학의 중요성을 제시했고, 백성들이 쉽게 구할 수 있는 약재를 사용한 처방에 심혈을 기울인 세계 최고의 한방 의서다.

허임은 전라도 나주에서 노비의 아들로 태어났다. 침으로 선조의 극심한 편두통을 고치면서 어의에 당상관까지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말년에 쓴 '침구경험방(鍼灸經驗方)'은 중국과 일본의 침술에도 큰 영향을 줬다. 내의원 제조인 이경석은 '침구경험방' 발문에서 "허임이 다 죽은 사람을 살려내는 신의 경지에 이르렀다"고 썼을 만큼 '조선제일침'으로 시대를 풍미했다.

허임은 노비의 아들로 태어났지만 침술로 신분 상승을 이뤄냈다. 그는 이론과 실천을 결합한 의학을 주장했고, 1644년 침구학의 기초이론과 자신의 치료 경험을 종합한 '침구경험방'을 편찬했다. 사진은 허임을 주인공으로 한 tvN 드라마 '명불허전'의 장면.
허임은 노비의 아들로 태어났지만 침술로 신분 상승을 이뤄냈다. 그는 이론과 실천을 결합한 의학을 주장했고, 1644년 침구학의 기초이론과 자신의 치료 경험을 종합한 '침구경험방'을 편찬했다. 사진은 허임을 주인공으로 한 tvN 드라마 '명불허전'의 장면.

반대로 백성들의 삶 속에서 오직 가난한 사람만 치료한 명의도 있었다. 바로 조광일이다. 스스로 "만 명의 백성을 살린 의사가 되겠다"며 전국을 돌아다녔고, 이름도 밝히지 않고 아픈 백성들을 치료했다. 그의 인품에 감동한 이경민은 그의 책 '희조질사(熙朝軼事)'에 "보통의 의원들은 부잣집을 다니면서 재산을 모았을 것이다. 그러나 조광일은 침술로 명성을 얻었지만 고관현작들의 왕진 요청에는 응하지 않았다. 오직 돈 없고, 힘없는 백성들의 병만 치료했다"고 적었다.

영조 때 명의로 이름을 날린 이헌길은 홍역 치료제 개발에 평생을 바쳤다. 홍역은 오늘날 조류독감이나 사스 이상으로 위험한 질병이었다. 영조 51년(1775년) 한양에 홍역이 크게 유행했지만 그가 쓴 '마진기방(痲疹奇方)'의 치료법이 수많은 백성을 구했다. 지금도 승마갈근탕(升麻葛根湯)은 소아에 응용되고 있는 훌륭한 처방으로 꼽힌다.

서민 의사로는 종기를 치료하는 종의(腫醫)로 이름을 떨친 피재길도 있다. 정조실록 17년 7월 16일자 기사에 따르면, "상의 병환이 평상시대로 완전히 회복되었다. 지방 의원인 피재길이 단방(單方)의 고약을 올렸는데 즉시 신기한 효력을 내었기 때문이다. 재길을 약원(藥院)의 침의(鍼醫)에 임명하도록 했다"고 적고 있다.

말의 병을 고치는 마의(馬醫)에서 어의와 숭록대부까지 오른 백광현은 종기 치료에 획기적인 외과적 수술법을 도입한 의사다. 그는 독기가 강하고 뿌리가 깊은 악성 종기로 죽어가는 환자들을 살려 내 신의(神醫)로 불렸다. 예리한 수술 도구를 써서 종기를 짼 뒤 약을 써서 뿌리를 제거하는 수술법은 당시에는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유래가 없는 것이었다.

조선 중기의 문신 전유형은 조선 최초로 사람을 해부한 의사다. 유생 신분으로 의병장 조헌과 함께 임진왜란에 참전한 그는 왜구의 시신 3구를 해부해 조선의 외과수술 발전에 큰 족적을 남겼다. 전유형이 남긴 '오장도(五臟圖)'는 훗날 허준의 동의보감 첫장에 그려진 '신형장부도(身形藏府圖)'에도 영향을 줬다.

조선 최초로 사람을 해부한 전유형은 인체의 장기를 그린 '오장도'를 남겼다. 허준의 동의보감 첫장에 담긴 '신형장부도'는 전통의학의 내·외과적 공존을 상징한다.
조선 최초로 사람을 해부한 전유형은 인체의 장기를 그린 '오장도'를 남겼다. 허준의 동의보감 첫장에 담긴 '신형장부도'는 전통의학의 내·외과적 공존을 상징한다.

조선의 명의에는 아줌마 의사도 있다. '태교신기(胎敎新記)'를 쓴 사주당 이씨는 양반 가문의 여성으로 여러 명의 자식을 낳아 기른 경험을 바탕으로 태교의 중요성을 알리는 책을 썼다. 그녀는 '태교신기' 1장 1절에 "의술을 잘하는 의사는 병들기 이전에 다스리고, 가르치기를 잘하는 사람은 태어나기 이전에 가르친다. 그러므로 스승의 십 년 가르침이 어머니가 임신하여 열 달 기르는 것만 같지 못하고, 어머니가 열 달 기른 것이 아버지가 하루 낳는 것만 같지 못하다"고 썼다. 이 책만 따라 한다면 자녀를 훌륭한 인격체로 키우는 것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공전의 히트를 쳤던 드라마 대장금의 주인공 '서장금'도 조선을 대표하는 여성 의료인이다. 조선 최초이자 마지막 여성 어의였고, 중종 때 대장금(大長今)이라는 엄청난 칭호를 받은 전설적인 인물이다. 중종실록에는 "대비전의 병세가 좋아져서 의녀 신비와 장금에게 쌀과 콩 10석을 하사했다(17년 9월 5일자)", "왕의 오랜 병을 고친 공로로 상을 내렸다(28년 2월 11일자)", "나의 병은 여의(女醫)가 잘 안다(39년 10월 26일자)"고 기록돼 있다.

MBC드라마 '마의'와 '대장금'은 각각 백광현과 의녀 장금을 주인공으로 한 메디컬 드라마로 국내외에서 큰 인기를 모았다.
MBC드라마 '마의'와 '대장금'은 각각 백광현과 의녀 장금을 주인공으로 한 메디컬 드라마로 국내외에서 큰 인기를 모았다.

동무(東武) 이제마(1837~1900)는 허준과 함께 한의학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사람이다. 이제마는 조선 말기에 체질에 따라 치료법을 달리 적용하는 '사상의학(四象醫學)'을 창시해 한의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그가 쓴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은 환자의 체질에 중점을 둔 통계적 수치를 통한 치료법을 제시해 한의학의 전통인 음양오행설의 공론에서 벗어난 획기적인 학설이 됐다.

한의학을 너머 동양의학의 새로운 지평을 연 이제마의 사상의학은 '동의수세보원'을 통해 전통의학의 거대한 줄기로 자리매김했다.
한의학을 너머 동양의학의 새로운 지평을 연 이제마의 사상의학은 '동의수세보원'을 통해 전통의학의 거대한 줄기로 자리매김했다.

조선 의사들의 애민(愛民) 정신은 '동양의 슈바이처'로 불린 고 이종욱 박사(1945~2006)로 이어졌다. 이종욱 박사는 UN의 보건기구인 WHO 사무총장을 지내며 에이즈에 맞서 '3 by 5(2005년까지 개발도상국 거주 300만 명에게 항에이즈 바이러스 치료제 제공) 사업'을 벌였고, AI(조류인플루엔자) 확산 방지, 소아마비와 결핵 예방, 흡연 규제 등으로 탁월한 리더십을 발휘했다. 소아마비 발생률을 세계 인구 1만 명당 1명 이하로 낮춰 '백신의 황제'로 불렸고, WHO 내에서는 'a Man of Action(행동하는 사람)'이라는 별명을 달았다.

이 박사는 2006년 5월 WHO 총회 준비 도중 과로로 쓰러져 세상을 떠났다. 전세계는 '세상에서 가장 큰 의사를 잃었다'며 애도했다. 소외되고 빈곤한 곳을 먼저 향했던 이 박사의 삶은 조선 의사들의 신념인 애민정신의 표상이다.

고 이종욱 박사는 반기문 UN사무총장보다 더 먼저 UN 전문기구의 수장을 지낸 첫 한국인이었다. 정작 한국에서는 그를 기억하는 사람이 많지 않지만 세계인들은 그를 'UN의 성자'로 기억하고 있다.
고 이종욱 박사는 반기문 UN사무총장보다 더 먼저 UN 전문기구의 수장을 지낸 첫 한국인이었다. 정작 한국에서는 그를 기억하는 사람이 많지 않지만 세계인들은 그를 'UN의 성자'로 기억하고 있다.

고 이종욱 박사는 "하려고 하는 일은 일단 시작해서 밀고 나가야 한다. 그리고 이 일이 과연 옳은 일이고, 인류를 위해서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인가에 대해서만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그의 말이 의료인을 꿈꾸는 젊은이들에게 히포크라테스 선서와 제네바 선언 이상의 지침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 세계무대를 향한 글로벌 리더를 꿈꾸는 젊은이들도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