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기자단과 함께 하는 교실 속 NIE, ‘역사 진로직업 체험’, ①선비, 충청 기호유교와 항일운동의 주역이 되다
학생기자단과 함께 하는 교실 속 NIE, ‘역사 진로직업 체험’, ①선비, 충청 기호유교와 항일운동의 주역이 되다
  • 권성하 기자
  • 승인 2018.06.02 18: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①선비, 충청 기호유교와 항일운동의 주역이 되다

교육사랑신문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18년도 지역신문발전기금 지역신문활용교육의 일환으로 ‘교육사랑신문 학생기자단과 함께 하는 교실 속 NIE, 역사 진로직업 체험’을 총 12회에 걸쳐 게재합니다. 역사 속 인물들의 직업과 생애를 통해 오늘을 사는 학생·청소년들의 꿈과 끼를 키우고, 진로와 직업의 세계를 풍부하게 생각하는 기회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첫 번째 주제는 ‘선비’입니다.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學而時習之 不亦說乎)”를 외치고, “몸을 세워 도를 행하고, 후세에 이름을 날려 부모를 드러나게 하는 것이 효의 마지막이다(立身行道 揚名後世 以顯父母 孝之終也)”라고 다짐했던 조선 선비들의 모습을 살펴보고, 수많은 충청지역 선비들이 항일운동에 앞다퉈 앞장섰던 이야기를 학생기자들과 나눠보고자 합니다. <편집자 주>

선비. 학문을 닦는 사람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이다. 또 학식이 있고 행동과 예절이 바르며 의리와 원칙을 지키고 관직과 재물을 탐내지 않는 고결한 인품을 지닌 사람을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선비는 순 우리말이다. 한자로는 ‘사(士)’로 쓰이며 유교 이념을 담당한 인격이라는 뜻에서 ‘유(儒)’로도 쓰인다. 선비라고 하면 흔히 조선시대를 떠올리지만 우리나라에서 선비의 역사는 삼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문헌에 나온 기록만 해도 2세기 말엽 고구려 고국천왕 때, 재상의 자리에 올랐던 을파소(乙巴素)가 퇴임하면서 "때를 만나지 못하면 숨어 살고 때를 만나면 나와서 벼슬하는 것이 선비의 떳떳한 일이다라고 했다"고 쓰여 있다.

물론 많은 이들이 공감하는 선비의 모습은 조선시대에 표준적인 정형화를 이뤘다. 선비들이 사회의 지도적 계층으로서 지위를 다지면서 선비의 생활양상은 사회 규범을 정하는 가치로 자리 잡았다. 세상의 이치를 배우고, 터득해 나가는 오늘날의 청소년들에게 선비의 의미가 남다른 이유다.

특히 대전, 세종. 충남, 충북지역은 한국 유교역사에서 중요한 곳이다. 대전·충청지역은 기호유교의 본산이다. 기호는 경기(京畿)와 호서(湖西)지방를 통칭하는 말이다. 경기는 경기도이고, 호서는 지금의 충청도다. 충북 제천의 의림지를 호수로 볼 때 서쪽에 있다고 해서 붙여진 오랜 이름이다.

역사는 정체성이다. 분명히 ‘기호’나 ‘호서’는 대전·충청의 역사이면서 정체성이다.

그래서 굿모닝충청 교육사랑신문 학생기자단이 충남남부장애인복지관 친구들과 함께 지난 4월 1일과 5월 12일-13일 실시한 ‘충청지역 인문·역사·문화 콘텐츠 발굴 취재’는 의미있는 작업이다.

학생기자단의 취재에서 으뜸 키워드는 ‘선비’다. 지난 4월 1일 충남 논산을 방문한 학생기자들은 돈암서원과 궐리사, 명재고택, 노성향교, 종학당 등에서 조선 유교를 주름잡던 선비들의 면모를 실감했다. 또 5월 12일과 13일 각각 충남 예산과 홍성에서 추사 김정희 고택과 기념관, 면암 최익현 선생 묘, 매헌 윤봉길 의사 사당인 충의사와 매헌기념관, 홍주읍성(조양문, 여하정, 안회당, 홍주아문, 홍주옥사)과 백야 김좌진 장군 생가, 만해 한용운 생가, 남당 한원진 선생 사당인 양곡사 등을 돌아보며 충남의 선비정신이 어떻게 항일투쟁으로 연결됐는지를 취재했다. 중국의 공자에서 비롯된 대표적인 동양사상인 유교가 한국 근대사에서 호서지역(대전·충청)에서 어떻게 항일운동의 사상적 근거가 됐는지를 탐구했다.

추사 김정희 선생은 조선을 대표하는 학자이자 예술가다.
추사 김정희 선생은 조선을 대표하는 학자이자 예술가다.

과연 ‘선비’란 무엇인가? 학생기자들이 얻은 해답은 다양하다.

우선 관직에서는 임금의 바로 아래인 영의정에까지 오를 수 있고, 비록 벼슬을 하지 못하더라도 유교의 도(道를) 강론하고 실천하는 중대한 임무를 가진 신분이다. 오늘날로 치면 멘토이자 구루(Guru)의 역할을 했다. 책 ‘소학’은 인간의 성장과정을 통해 선비의 생애를 잘 보여준다. 어린아이가 가정에서 교육을 통해 성장하고, 10세가 되면 남자아이는 사랑에서 아버지와 자며 선생을 찾아가 배우고, 20세가 되면 관례(冠禮·어른이 되는 예식)를 하고, 30세에는 결혼을 하고, 40세에는 벼슬에 나가고, 70세에는 벼슬에서 물러나는 것을 신조로 삼았다.

선비가 학문하는 것은 지식의 축적이 아니라 도리를 실천하는 인격적 성취에 목표를 뒀다. 또 자신의 덕을 사회 속에서 실현하기 위해 관직에 나갔다. 물론 관직을 목적으로 삼지 않았다. 선비에게 관직은 자신의 뜻을 펴고, 신념을 실현하는 기회였다. 때문에 임금과 신하라는 관계에서 무조건 복종과 충성하지 않았다. 선비와 임금의 관계는 의리로 맺어져 있고, 의리가 없으면 신하 노릇을 하지 않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했다.

선비들의 ‘의리 정신’은 타민족의 침략을 당할 때 빛을 발했다. 침략자를 의롭지 않은 집단으로 규정하고, 항거했다. 임진왜란 당시 선비들의 항전을 의병(義兵)이라고 한 것도 마찬가지다. 이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도 지대한 영향을 줬다. 선비들이 나라의 위기에서 생명을 버리면서 항거할 수 있었던 것은 나라를 지키는 것이 의리에 합당하다는 신념이며 강인한 선비정신의 증거다.

충남 홍성 출신의 백야 김좌진 장군은 청산리전투에 빛나는 항일운동가다.
충남 홍성 출신의 백야 김좌진 장군은 청산리전투에 빛나는 항일운동가다.

 

매헌 윤봉길 의사의 홍커우 공원 의거는 상해 임시정부가 전세계에 공인받는 쾌거로 이어졌다.
매헌 윤봉길 의사의 홍커우 공원 의거는 상해 임시정부가 전세계에 공인받는 쾌거로 이어졌다.
만해 한용운 선생은 승려이자 시인이며 항일지사다.
만해 한용운 선생은 승려이자 시인이며 항일지사다.

선비는 매우 독특한 관직 생활을 했다. 처음부터 세상에 봉사한다는 신념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관직을 통해 자신의 학문과 신념을 펼치고자 했다. 선비들이 가장 활발히 참여한 관직은 경연관(經筵官)·언관(言官)·사관(史官)을 꼽을 수 있다. 경연관은 임금을 교육시키는 등 통치이념에 큰 영향을 줬고, 언관은 임금의 잘못을 고치도록 직언을 하는 역할을 맡았다. 홍문관·사헌부·사간원의 대간(臺諫)이 간관으로서 간언을 담당했지만 벼슬하지 않은 선비들도 언제든지 간언하는 것이 권리라고 생각했다. 사관은 춘추관에서 역사를 기록하고 편찬하는 일을 했다. 선비는 사필(史筆·사관이 곧은 말로 기재한 필법)을 잡았을 때 임금을 비롯한 어떠한 권력과 불의에도 굽히지 않는 것을 철칙으로 삼았다.

벼슬길에 나가지 않는 선비를 ‘처사(處士)’라고 불렀는데 학문에 조예가 깊고, 많은 제자를 길러내 세상에 바른 도리를 제시하면 ‘선생(先生)’으로 높은 존경을 받았다. 선생은 벼슬하는 사람의 호칭인 ‘공(公)’ 보다도 훨씬 더 높은 존칭으로 여겨졌다. 벼슬에 나간 선비도 제자를 가르치고, 학문을 성취해 선생으로 불리기를 바랬다.

선비들은 향촌에서 공동체를 이뤘다. 유교의 도통(道統)을 존숭하고, 성균관과 향교의 문묘(文廟·공자를 모신 사당)에 참배하기 위한 모임을 만들었고, 서원을 중심으로 해당 지역이 선현을 제향하는 모임도 만들었다.

성균관과 향교가 국가의 기관으로서 관학적 성격이 강하다면, 서원과 서당은 선비들이 자유롭게 참여하는 공동체이면서 제향(祭享)과 강학(講學), 도서관의 역할을 했다.

21세기에 ‘선비’를 떠올리는 이유는 간단하다. 단순한 신분이 아니라 인격의 모범이며 시대 양심의 정신이며 인간의 도덕성을 개인 내면과 사회질서 속에서 확립하는 원천으로 해석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 직업적 의미를 오늘날에 비춰 볼 가치가 충분하기 때문이다.

충청도 선비들, ‘조선 유교의 중심에서 항일을 외치다’

굿모닝충청 학생기자단이 방문한 충남 논산은 한국 유교의 뿌리다. 조선의 정치와 이념을 지배한 당파인 노론과 소론의 중심지다. 또 공자의 사당인 ‘궐리사(闕里祠)’가 있는 곳이다. 궐리사는 공자의 고향인 궐리촌(闕里村)에서 따온 이름이다.

논산의 대표적인 선비는 사계 김장생과 아들 신독재 김집 선생이 있다. 이들은 유학의 본질인 예학(禮學)을 집대성해 문묘에 배향됐다. ‘문묘배향(文廟配享)’은 문성공인 공자의 사당에 위패를 함께 모신 것을 말한다. 4명의 성인인 안자, 증자, 자사, 맹자와 송나라 여섯명의 현자인 주돈이, 정호, 정이, 소옹, 장재, 주희와 우리나라 인물 18명이 문묘에 배향됐다.

해동18현(문묘18현)으로 불리는 우리나라의 인물들은 신라시대 설총, 최치원 선생부터 안향, 정몽주,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이황, 김인후, 이이, 성혼, 김장생, 조헌, 김집, 송시열, 송준길, 박세채 등이다. 사계와 신독재 부자의 명성을 실감할 수 있는 내용이다.

학생기자들은 사계 김장생을 비롯해 김집, 송준길, 송시열을 배향한 돈암서원과 응도당(보물 제1569호)에서 (사)기호문화유산활용진흥원의 문화해설사로부터 예학의 기본과 인사법, 조선 건축물과 서원의 특징 등을 배우는 기회를 가졌다.

굿모닝충청 학생기자단이 사계 김장생을 비롯해 김집, 송준길, 송시열 선생을 배향한 충남 논산의 돈암서원에서 조선 선비들의 품격과 예절을 배우고 있다.
굿모닝충청 학생기자단이 사계 김장생을 비롯해 김집, 송준길, 송시열 선생을 배향한 충남 논산의 돈암서원에서 조선 선비들의 품격과 예절을 배우고 있다.

여혜인 학생기자단 대표(세종 두루고2)는 "한국을 너머 동양문화권 전체의 정신문화를 좌우했던 유교는 충과 효가 가장 중요한 가치인데 논산지역 취재를 통해 사람의 됨됨이를 지키는 것이 모든 인간관계는 물론 나의 진로탐색에서 기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느꼈다"고 말했고, 권민서 학생기자(대전 삼육초5)는 "돈암서원에서 예절배우기를 하면서 옛 조상들이 했던 인사법이 남자와 여자가 달랐다는 사실을 배웠고, 돈암서원을 직접 조립해 보면서 주련, 눈썹 기와, 대들보 등의 의미를 알게 됐다"고 말했다.

학생기자들은 소론의 영수이자 조선의 백의정승으로 불렸던 명재 윤증 선생 고택과 파평 윤씨 집안의 기숙학교였던 종학당에서 조선 선비들의 품격을 배웠다.

또 취재현장을 방문한 김종민 국회의원(논산·계룡·금산, 더불어민주당)에게 직접 논산의 기호유교를 듣는 자리도 가졌다. 김 의원은 학생들에게 "논산은 조선왕조의 시스템을 유지해 온 기호유교의 본산이면서 수많은 학자와 위인을 배출한 고장"이라며 "논산을 알리기 위해 찾아 온 학생기자들이 대견스럽고, 더 많은 역사 문화 콘텐츠를 취재해 국내외 많은 학생들에게 알려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충남 홍성의 남당리는 남당 한원진 선생에서 비롯된 항일운동의 역사적 뿌리다.

5월에 실시한 예산과 홍성지역 탐방은 선비들의 ‘항일투쟁’을 주제로 했다. 논산이 기호유교의 중심이라면 홍성·예산의 내포지역은 남당 한원진의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이 뿌리 깊게 내린 곳이다. 쉽게 말해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같은 인간의 본성을 사물도 똑같이 갖고 있느냐의 문제로 남당 한원진은 '사람과 사물의 성질은 다르다'라는 학설을 정립했다. 이후 인물성이론은 "조선과 오랑캐는 다르다"는 이념으로 개화기 위정척사운동에 사상적 기반이 되고, 홍성과 예산지역에서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탄생하는 배경이 됐다.

조선의 대유학자인 남당 한원진 선생의 인물성이론 사상은 충청도 전역에 의병 운동과 항일운동의 사상적 기반이 됐다.
조선의 대유학자인 남당 한원진 선생의 인물성이론 사상은 충청도 전역에 의병 운동과 항일운동의 사상적 기반이 됐다.

학생기자들은 남당 한원진 선생의 사당인 '양곡사'에서 남당의 사상이 어떻게 한말 위정척사운동에 영향을 줬고, 홍주의병을 비롯해 지산 김복한, 복암 이설, 만해 한용운, 백야 김좌진, 매헌 윤봉길 등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의 사상적 기반이 됐는지를 취재했다.

금민준 학생기자(대전 성덕중2)는 "홍성 남당리는 대하축제나 쭈꾸미를 먹는 곳으로만 알았는데 이번 탐방 취재를 통해 남당 한원진 선생님의 유교 사상이 많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하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점을 알게 돼 놀라웠다"며 "21세기를 사는 우리 학생들이 남당 한원진 선생님의 사상에서 비롯된 항일투쟁의 역사를 함께 알아가고, 배우는 기회가 더 많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학생기자들은 충남도청소재지인 내포지역(예산·홍성)의 유교문화와 항일운동을 적극 취재해 국내외에 적극 알린다는 각오를 다졌다.

을사늑약 이후 의병봉기를 의논하는 애국지사들과 학생기자들.
을사늑약 이후 의병봉기를 의논하는 애국지사들과 학생기자들.

특히 '만세운동' 퍼포먼스는 이번 탐방의 하이라이트가 됐다. 학생기자단은 12일 저녁 예산 리솜스파캐슬에서 세미나를 열고, 각자 취재한 내용을 바탕으로 ▲1부 예산홍성 항일운동 인물소개 포스터 만들기 ▲2부 항일운동의 암호 '태극기를 품어라'를 진행했다. 학생들은 조별로 완성된 포스터로 항일운동의 인물과 사건을 소개했고, 항일운동의 의지를 담은 밀지를 받고 팀별 암호를 해독한 뒤 태극기를 완성했다.

학생기자들은 밤새 완성한 태극기를 들고, 13일 오전 예산군청과 홍성군청 앞에서 만세운동을 펼쳤다. 이번 만세운동은 내년 3.1운동 100주년과 상해임시정부 100주년을 기념해 순국선열의 숭고한 넋을 학생정신으로 잇기 위해 마련됐다.

학생기자들이 매헌 윤봉길 의사의 애국정신을 잇겟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
학생기자들이 매헌 윤봉길 의사의 애국정신을 잇겟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

학생기자단 부회장인 김민상 학생(대전고2)은 “서울 탑골공원에서 시작된 3.1운동이 한달 뒤인 4월1일 천안 아우내장터 만세운동에서 전국적인 평화만세운동의 기폭제가 됐고, 중국 청도의 5.4운동으로 이어졌다”며 “내년 3.1운동과 상해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앞두고 항일운동의 중심지인 홍성, 예산에서 세계 평화를 위한 만세운동의 함성을 외치면서 중국 친구들과 역사교류의 물꼬를 트고 싶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굿모닝충청 학생기자단의 충청유교문화와 항일운동 탐방취재는 중화권 영상 송출 매체인 (주)엔티디코리아(NTD Korea)가 '헬로우코리아'를 통해 중국 각지 15억 중국인들에게 소개할 예정이어서 의미를 더했다. 헬로우코리아는 충남의 유교문화와 항일투쟁의 역사를 직접 취재하는 학생기자단의 활동 등을 오는 6월 경 위성 채널로 방송한다.

정연우 학생기자(대전 성덕중 2)는 “충청 선비들을 중심으로 항일 독립운동가를 취재하기 위해 홍성과 예산지역을 살펴보면서 매헌 윤봉길, 백야 김좌진, 만해 한용운, 면암 최익현 등 수많은 애국지사를 만날 수 있었다”며 “그분들의 희생으로 대한민국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 깊이 감사하고, 같은 식민지배의 역사를 가진 이웃 중국 학생들에게도 알리고 싶다”고 말했다.

이하린 학생기자(거창 창남초 5)는 헬로우코리아와 인터뷰에서 “1박 2일 동안 잘 몰랐던 독립운동가들의 업적을 알게됐다”며 “중국도 오래전에 일본의 침략을 받았다고 들었는데 중국의 친구들에게 충남의 독립운동에 대해 들려주고 싶다”고 말했다.

지족중 1학년 이준경, 김연찬 학생기자는 “컴퓨터공학(준경)과 의사(연찬)가 장래희망인데 지역의 문화유산을 탐구하고, 취재하면서 학교에서 배우지 못하는 뿌듯함을 느꼈다”고 말했고, 이소희 학생기자(글꽃중 2)는 “유치원 선생님이 꿈인데 나중에 어린 제자들에게 선비와 기호유교 등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고 싶다”고 말했다.

이현주 학생기자(공주여중2. 뇌병변장애)는 "평소 접하기 힘든 역사문화유적지를 또래 친구들의 도움으로 재미있게 살펴볼 수 있어서 좋았다"며 "충청지역의 선비들의 생애를 살펴보면서 장애와 비장애를 넘어 하나 된 나라사랑 정신을 느꼈다"고 말했다.

충남도청소재지인 홍성과 예산은 외세에 항거한 수많은 애국지사를 배출한 조선 선비의 고장이다. 학생기자들이 홍주성역사관에서 대한독립만세를 외치고 있다.
충남도청소재지인 홍성과 예산은 외세에 항거한 수많은 애국지사를 배출한 조선 선비의 고장이다. 학생기자들이 홍주성역사관에서 대한독립만세를 외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