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6-25 08:31 (수)
대전시의회, 지역 경제 활성화와 탄소 중립 연계 방안 모색 정책 토론회 개최
대전시의회, 지역 경제 활성화와 탄소 중립 연계 방안 모색 정책 토론회 개최
  • 이하린 기자
  • 승인 2025.03.28 2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전시의회는 28일 시의회 소통실에서 「지역경제활성화 연계 탄소중립 이행방안 정책토론회」를 개최하고, 탄소 중립 실현과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심도 깊은 논의를 펼쳤다.

산업건설위원회 송활섭 의원(무소속, 대덕구2)이 주관한 이번 토론회는 대전시 탄소중립 기본계획의 실질적인 이행 방안과 지역 산업 경제의 상생 발전을 위한 정책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토론회의 발제는 김현희 씨에프씨 대표가 맡아 ‘탄소중립 기본계획 이행 및 지역산업경제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김 대표는 이 자리에서 “재생에너지 확대, 전력구매계약(PPA), 지역 순환 경제 실현을 위한 전략적이고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탄소 감축이 단순한 규제를 넘어 지역 경제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진 지정 토론에서는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탄소 중립 이행 과정에서의 과제를 짚어보고 현실적인 해결책을 제시했다.

강명구 디지털ESG얼라이언스 사무총장은 “글로벌 탄소 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의 ESG 경영 내재화가 필수적”이라며, “탄소 감축 노력과 함께 공급망 경쟁력 강화 방안을 동시에 고려한 전략 수립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기희 대전세종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은 “지역 내 탄소 중립 기술 기반 사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대덕연구단지와 연계한 투자 활성화가 필요하며, 전문 실무 인력 양성 및 탄소 중립 정책으로 인해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지역 산업에 대한 지원 방안 마련도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김종오 한국에너지혁신협의회 회장은 “기업들의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를 위한 PPA 확대와 관련 인프라 지원은 기업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라고 지적하며, 정부와 지자체의 실질적인 지원책 강화를 촉구했다.

문충만 탄소중립지원센터장은 “대전시는 태양광 발전을 중심으로 한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과 함께 지역 화폐를 활용한 시민 참여 전략을 병행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은섭 대전상공회의소 과장은 “지역 기업들의 ESG 경영 도입 및 확산을 지원하기 위한 대전형 ESG 경영 지원 사업의 중장기 로드맵을 명확히 제시하고 정책의 일관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최경해 불휘햇빛발전협동조합 기술팀장은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에너지 전환 모델을 제시하여 눈길을 끌었다.

백계경 대전시 환경정책과장은 대전시의 탄소 중립 이행 현황과 향후 추진 계획을 상세히 설명하며 민관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좌장을 맡은 송활섭 의원은 “탄소 중립은 더 이상 환경 정책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지역의 산업 구조와 경제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이슈”라고 지적하며, “탄소 감축 목표 달성과 지역 경제 활성화가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정책 설계를 시급히 모색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오늘 토론회에서 논의된 다양한 제안들이 단순한 논의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대전시 정책으로 구체화될 수 있도록 시의회 차원에서도 적극적으로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