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립중·고등학교' 관리 주체 변경 문제 급물살
'대전시립중·고등학교' 관리 주체 변경 문제 급물살
  • 권성하 기자
  • 승인 2021.05.21 08: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전시-대전교육청, "큰틀은 공감...122억원 재산권이 문제"
정기현 의원, "공공대안학교 설립과 연결해 해결책 찾아보자"
대전시립중·고등학교의 관리 주체를 대전시에서 대전교육청으로 바꾸자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교육사랑신문 권성하 기자/ 사진 대전시립중·고등학교 홈페이지 캡처]
대전시립중·고등학교의 관리 주체를 대전시에서 대전교육청으로 바꾸자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교육사랑신문 권성하 기자/ 사진 대전시립중·고등학교 홈페이지 캡처]

전국 최초의 공공형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인 '대전시립중·고등학교'의 관리 주체를 대전시에서 대전교육청으로 바꾸자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대전시와 대전교육청 등이 큰 틀에서는 관리 주체 변경에 공감하기 때문이다. 두달 전인 제257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관리 주체 문제가 불거졌을 때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가 전개되는 모양새다.

21일 대전시 교육청소년과 관계자는 "개교한지 1년 밖에 되지 않아 학교 안정에 최우선을 두고 있기 때문에 대전시가 먼저 나서서 운영주체 변경 등에 관해 논하는 것은 자칫 혼란을 키울 우려가 있다고 판단된다"면서도 "대전교육청이나 시의회 차원에서 운영주체 변경과 관련한 논의나 행동이 있을땐 시도 적극 돕겠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관건은 재산권이다. 대전시립중·고등학교는 동구에 위치한 옛 대전산업정보학교 터에 설립됐다. 대전시 산하기관인 대전평생교육진흥원이 대전교육청으로부터 매입했다. 땅과 건물을 합해 약 122억원이 투입됐다.

대전교육청 입장은 학교 시설에 대해 기부채납 형태로 이전하고, 관리와 운영비를 담당하는 형태로 진행하는 안을 구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분은 대전시와 대전시의회 등의 논의가 필요한 대목이다.

이에 대해 정기현 대전시의원(민주당.유성구3)은 대전교육청이 공공 대안학교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전시립중·고등학교 문제를 좀더 거시적으로 바라보면 해결책을 찾을수 있다는 대안을 내놓고 있다.

정기현 의원은 "대전교육청이 연간 1000명 안팎에 달하는 대전지역 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해 성북동 등에 공공형 대안학교 설립을 검토하고 있다"며 "학력이 인정되는 평생교육시설인 대전시립중고등학교의 외연을 넓혀 대안학교 기능까지 더하면 얼마든지 예산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제시했다.

실제로 대전시립중·고등학교 입학생의 연령대를 살펴보면, 2020년 개교 당시 입학 총원 314명에서 60대와 50대, 70대 이상이 각각 103명, 43명, 33명 등 다수를 차지했지만 40대 8명, 30대 4명, 20대 6명, 10대 12명 등 다양한 분포를 보였다.

정 의원은 "10대 학업중단 청소년들이 한 두 세대 위의 어르신들과 같은 학교에서 공부하고, 체험을 한다면 좀더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며 "공공 대안학교의 본래 목적인 공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학습자 중심의 자율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해 학업중단 학생들의 성장을 돕는다는 취지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대전시립중·고등학교는 중·고등학교 과정이 각각 2년제로 단축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검정고시 없이 학력 인정 및 대학 진학이 가능하다.

직장인들을 위한 야간 과정도 운영하는 등 전쟁과 배고품, 어려운 가정사 등으로 배움의 시기를 놓친 시민들에게 중등교육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만학도의 꿈'을 이루도록 지원하는 학교다.

지난해 3월 1일 개교해 중학교 140명, 고등학교 174명이 입학(주/야간 합산)했고, 올해 41명(중 9명/ 고 32명)이 졸업했다. 이중 91%인 29명이 대학 진학의 꿈을 이뤘다.

정기현 대전시의원
정기현 대전시의원